지방소멸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에 지방소멸 위험도가 높은 소멸위기 지역이 총 59곳으로 조사됐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자체별로 갖가지 자구책을 내놓고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지방이 소멸되면 과연 어떤 어려움과 위기가 닥쳐 오는 걸까요? 구체적으로 우리에게 어떤 불이익이 돌아올까요?
어떤 환경운동가는 인간이 지구의 반만 쓰자는 제안을 하기도 합니다. 인간이 지구상의 모든 지역이 아닌, 부분적인 지역에 살음으로써 자연환경을 보존하자는 얘기입니다. 한편으로는 지금도 지구상에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표적인 지역이 DMZ 지역입니다. 강원도 고성의 경우, 접경지역인 수동면이 사람이 살지 않게 된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군사적인 이유가 아니라 하더라도 한국의 바다에는 수많은 무인도가 있고, 강원도처럼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에는 몇 킬로를 가더라도 인적이 드문 곳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라 해서, 관리가 안 되는 버려진 땅으로만 남아 있을까요? 당연히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각종 천연기념물 등, 다양한 동식물이 더 발달해 있습니다.
인류의 산업 활동으로 인해 지구의 환경이 극단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이를 지질시대에 포함시키고자, 인류세라는 단어가 등장했습니다. 질량보존의 법칙에 의하면, 인구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상대적으로 다른 동식물의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심지어 멸종까지도 일어납니다. 이는 인류세의 폐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인구가 1960년대 2500만이었던 것이, 23년도에 5100만으로 불과 60년 만에 두 배로 늘었습니다. 1960년대에 지금의 절반 인구였지만 인구부족으로 인한 위기나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따라서 지금 다시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해서 큰일 나는 일은 없습니다.
과거에는 후손의 대가 끊기면 큰일이 난다고 생각했으나, 지구촌이 한 가족이 된 지금은 한 집에서 후손이 없더라도 다른 집에서 대가 이어지니 큰 걱정이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오히려 적게 낳음으로써 지구의 면적을 다른 동식물에게 양보하려는, 배려하는 모습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구수가 줄고 사람이 사용하는 지구의 면적이 줄어들면 다른 동식물에게 이익이 돌아옵니다. 이것은 인류가 불이익을 당하는 게 아니라, 서로 상생함으로써 오히려 인류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물론 지방소멸에 단점이 없을 수는 없습니다. 공무원들에게는 불이익이 돌아갑니다.
사람들이 모두 다른 곳으로 이사해서 결국 지방이 소멸될 경우, 이미 이사한 사람들에게는 불이익이란 게 없습니다. 하지만 그 지역을 위해 일하고 있던 공무원들은 일자리를 잃게 됩니다. 어쩔 수 없이 남는 숫자만큼 정년퇴직할 때까지 신규임용을 못하게 되겠습니다.
물론 이것이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인구가 줄어들면서 관공서가 통폐합되는 수순을 거치게 될 것이고, 그동안 일반 시민은 불편함을 겪을 것입니다. 또한 대중교통 등의 인프라가 수지타산 문제로 더 줄어드는 중간기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떠나고 싶지 않아도, 더 이상 살 수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떠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겠습니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걱정과 달리, 우리 인류의 삶은 전반적으로는 더욱 편리해지고 살기 좋은 세상으로 발전해 가는 것도 사실입니다. 지방인구가 소멸되더라도 대안들이 계속 마련될 것입니다. 따라서 지방소멸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지방소멸은 지구에는 축복이 될 것입니다.
인간도 그걸 알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인구가 늘어나는 건 곤란합니다. “제발 그만해. 나 무서워. 이러다가는 다 죽어. 다 죽는단 말이야.”
글:최창균 원장(속초가 좋아 서울에서 온 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