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밥’ 먹는 한국…점심 저녁 포함 1주일 10끼 혼밥, 세계127위

0
404

다른 사람과 밥을 같이 먹는 사람이 삶의 만족도가 높다. ‘식사 공유’, 즉 알고 지내는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식사가 삶의 만족도와 직결된 요소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세계 행복의 날인 3월 20일을 맞아 공개된 유엔 ‘세계행복보고서 2025’의 결론은 “이 세상은 친절하다”는 믿음과 ‘친(親)사회적 행동’이다. 2012년 이후 13번째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많은 나라에서 이러한 믿음과 행동이 코로나19 팬데믹에도 크게 꺾이지 않고 확산돼 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회적 고립이 많아지고, 알코올·약물중독으로 인한 사망과 자살 등 ‘절망사(死)’가 늘어난 예외적인 나라들도 있었다. 한국과 미국이 여기에 포함됐다. 사람들이 전반적인 삶의 질을 스스로 평가해 매긴 주관적 행복 점수에서 한국은 147개국 중 58위로 지난해(143개국 중 52위)보다 떨어졌는데 이번에 ‘식사공유’를 평가 지표에 포함해 조사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은 ‘혼밥’의 빈도 역시 유독 높은 나라였다. 특히 일주일에 저녁 식사를 누군가와 함께하는 횟수는 평균 1.6회에 불과해 조사 대상 142개국 중 127위였다. 주요 20개국(G20) 중에선 ‘혼밥 문화’로 잘 알려진 일본(1.8회)보다도 적었다.점심 식사 2.7회까지 포함해도 식사 공유 횟수는 주 4.3회에 그쳤다. 1주일간 점심 저녁 14끼 가운데 약 10회가량은 혼자 밥을 먹거나 식사를 거른다는 의미다.

반면 중남미 국가들은 평균 8.8회였고 북미 및 오세아니아, 서유럽 등도 평균 8회 이상이었다.혼밥 빈도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늘었다. 동아시아에서 주간 식사 공유횟수는 30세 미만에서는 6.4회였지만 60세 이상에서는 4.6회로 뚝 떨어졌다.. 식사를 더 많이 공유하는 국가일수록 사회적 지지와 긍정적 상호작용이 높고 외로움은 낮다는 결론이다.

얀-엠마누엘 드네브 옥스퍼드 웰빙 연구센터 소장은 “사회적 고립과 정치적 양극화의 시대에 사람들을 식탁에 모으는 것은 개인과 집단의 행복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프라티 교수는 “영국 옥스퍼드대의 학생 식당에는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에 나오는 것처럼 긴 나무 테이블을 놓는 전통이 있다”라며 “직장이나 학교 등의 기관이 구내식당을 이런 식으로 만들어 사람들을 가까이 앉도록 만드는 것도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글:김형자 객원기자

댓글 작성하기!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이름을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