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도시여행 트렌드 중 하나가 뒷골목의 명소나 맛 집을 찾아가는 것이다. 구불구불 골목길속, 찾기 쉽지 않은 장소도 기어코 찾아갈 수 있는 것은 모바일 지도 덕분이다. 길 찾기의 완벽한 안내자가 손바닥 위에 있다.
이런 트렌드는 쇠락하거나 무관심지역이었던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장소의 의미를 되찾게 해준다. 또한 삭막한 도시에 인간적인 훈기를 불어 넣어 준다. 그곳이 역사적으로 잊혀졌던 곳이든, 허름한 건물에 새로 개업한 맛 집이든 관계없이 말이다.
스마트시티라고 해서 기술적 장치로만 가득하고 그 통제 아래서 움직이는 모델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인천 송도가 스마트도시로서 인간적인 모습이 결여된 곳으로 평가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혹자는 송도를 ‘영혼과 정신이 결여된’ 유령같은 스마트시티라고 혹평한다.
인간적인 스마트시티 모델가운데 하나가 레저블(legible) 도시다.
읽을 수 있는 도시, 잘 찾을 수 있는 도시 정도로 해석되는 레저블 도시는 다니기에 편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행자 도로 등 인프라도 필요하지만 거기에 도착하기 위한 길 찾기가 쉬워야한다.
기술과 데이터를 사용해서 방문자나 주민들에게 도시를 좀 더 읽을 수 있게 만들어주는 일은 단순히 길을 찾아가는 수고를 덜어주는 것을 넘어선다. 그 과정에서 도시를 이해하고 경험하는 면적을 넓혀 준다. 숨어 있는 장소를 용하게 찾아가듯이 숨어있는 패턴을 찾아내고 그런 과정에서 도시의 서사적 관계를 발견해내는 것은 도시를 그야말로 스마트하게 만드는 소프트웨어적 요소가 될 것이다. 박물관과 도서관, 교육기관 등을 여행지도에 추가하여 좀 더 전략적인 정보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벤트나 활동, 교통 등 지역과 연계된 다양한 자원들을 제공해서 도시에 한발 더 가까이 참여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 지식•정보•콘텐츠의 종합세트는 스마트도시를 달리는 파이프라인과 같다. 1996년 세계 최초로 시작한 영국 브리스톨은 레저블 도시의 견본이라고 할 수 있다.
레저블을 요즘 유행어로 표현한다면 걷기를 통한 인문학이 떠오른다.
주민과 방문객들이 도시의 이곳저것을 걸으면서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고 새로운 발견을 축적해 나갈 수 있는 도시는 인간적인 향기가 넘친다. 고성이 들여다 보고 벤치마킹해야 할 모델이다.
라니 최(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