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교 위기 인제 신남고, 특성화 산림과학고로 부활시키자
인제 신남고등학교가 '산림과학고등학교'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신남고등학교가 설립된지 40여년만에 폐교가 될 위기에 놓여 있다.저출산이라는 여파를 피해가지 못하는 것이다.학생수를 보면 전교생이 50여명으로 이대로라면 폐교는 시간 문제이다.
일본의...
보건진료소에서 겪는 사회적 거리두기..디지털복지로 어르신 고독감 해소 필요
무릉도원이란 별칭이 붙은 도원리 계곡 마을 안길로 봄의 왈츠인 꽃들과 신록이 무성합니다. 이렇듯 새롭게 솟아오르는 연두색 풍경이 휘감은 신선봉 자락의 모습을 보면서 코로나로 인한...
독일 슈바르츠 발트의 교훈.. 설악권 산림 협업으로 지역경쟁력 높이자
슈바르츠발트(Schwarzwald).‘검은 숲’이라고 번역되는 독일 남서부의 거대한 산림지대는 숲 색깔이 검어서가 아니라, 숲이 하도 울창해서 대낮에도 숲에 들어가면 컴컴하다고 해서 검은 숲이란 표현이 붙여진 곳이다....
거대한 콘크리트가 투하되는 영랑호를 보며
영랑의 전설이 스며있고 뛰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속초시민들의 휴식처인 영랑호, 2021년 8월 20일은 유구한 세월을 지켜오고 있는 자연석호 영랑호에 흑역사로 기록될 날이 될 것 같다.이제...
설악권 서밋(summit)을 제안한다
지난번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큰 진통이 있었다. 지역실정을 감안하지 않고 지역을 철원과 통합하는 괴물같은 획정안이 나와 지역민들이 거세게 반발했다. 결국 인제를 포함시키는 설악권안으로 조정되어...
영랑호 생태탐방로 설치로 무엇을 얻는가?
속초시가 추진하는 영랑호를 가로지르는 부교와 호수 주변의 데크 설치 계획이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논쟁은 늘 봐오던 대립이다. 환경과 생태계보호라는 반대와 관광지 개발이라는 찬성...
왜 우리에게 인문학이 필요한가?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는 높다. 하지만 정작 인문학과는 취업률이 나와서 폐과되는 경우가 많고, 문과 학과들 사이에서 인문학과들의 커트라인은 법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언론학과 등에 비해서...
스마트 경로당으로 복지 서비스 질 제고하자
코로나의 긴터널을 겪으면서 어르신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경로당이 장기간 문을 닫고 있다.경로당이 여가와 소통의 중요한 장소였는데 폐쇄되니 집콕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코로나로...
텅빈 논에서 희망을 노래하다…’논 콘서트’서 얻은 4가지 교훈
추수를 마친 텅빈 논에서 개최한 ‘논 콘서트’가 성황리에 끝났다.코로나 시국이라는 특수성에서 지역주민들에게 마음 비타민을 듬뿍 드린다는 취지가 의미있게 잘 녹아내린 콘서트 였다고 자평하고 싶다.특히...
주민들 공감대 없어..고성군수 기자회견 파문 확산
동서고속철 고성 이전 제안의 파문이 확산되는 양상이다.단순히 역사 이전이 아니라 시.군통합까지 연계된 사안으로 확산되면서 지역여론이 들끓고 있다.
고성지역 반응은 대체적으로 싸늘하다.뜬금없다는 것과 사안의 중대성에 비추어...
인기기사
(고성산불 4년) ‘악마의 60퍼센트’..족쇄가 돼 버린 하자 투성이 산불 특심위 의결
고성산불 4주년이 돼 간다.산불은 꺼진지 오래지만 그로 인한 후유증은 진행형이고 이재민들의 고통 역시 마찬가지다.금방 깔끔하게 해결될 듯한 보상과 배상은 아직도 첩첩산중이다. 거기다 구상권 문제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