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구조물 대책은 해안침식 악순환만…모래이동 불균형 최소화 대책 필요

0
564

강원도 고성군 천진해변. 일정수준을 유지하던 백사장의 일부 구간이 최근들어 현격하게 줄어든 모습니다.파랑을 막는다고 앞 바다에 막대한 예산을 들여 인공구조물을 투하했는데도 여전하다.이같이 심각해지는 동해안 해안침식에 대한 원인과 처방이 제시되었다.

“해안침식의 대책으로 파랑를 막는 게 아닌 표사(모래 흐름)불균형 대책이어야 한다.파랑을 강하게 막을수록 새로운 변화(침식문제)가 발생한다.”해안도로, 주차장, 산책로 등 해안이용에서도 다소의 불편을 수용하여 파랑의 영향범위 내의 설치는 피해야 한다.“

14일 개최되는 ‘동해가 묻고 과학이 답하다’워크샵에 발표 예정인 강윤구 박사(한국항만협회)의 특강자료에서다.

강윤구박사는 해안침식이 해변개방에 따른 개발로 급격하게 증가했음을 상기시키면서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한 해안침식대책사업(국가 사업명은 ‘연안정비사업’이라칭함)에 연간 수백억원에서 천억원 이상 투입되고 있지만 사업비의 80% 이상이 구조물 시공비로 침식대책 구조물 이 새로운 침식을 유발하는 것도 한몫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해안침식의 문제는 표사계 내에서의 표사수지 감소(토사유입 감소, 항로·항내 준설, 해사채취 등)를 제외하면 모두 인공구조물(방파제, 호안, 친수시설, 침식대책구조물 등)이 원인이다. 이는 인공구조물을 설치하면 퇴적과 침식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표사의 균형이 깨지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침식대책 구조물(”구조적 침식대책“)도 인공구조물이다. 즉 구조적 침식대책을 계획하면서 이로 인해 발생할 침식과 퇴적의 변화를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면 침식대책의 효과가 떨어진다. 이는 특별히 새로운 식견도 아니며 기술적인 문제도 아니다.”고 분석했다.

그러기에 “고파랑화라든지 해수면상승과 같은 ”자연 탓”으로 돌리면 개발행위가 정당화되고, 침식대책이 왜곡된다.“며 ”지금 눈앞에서 발생하는 해안침식의 문제는 인간의 개발행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행위의 결과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강윤구 박사는 인식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파랑에 의한 침식문제는 개발 등 인위적 행위가 이루어진 곳에서만 발생하고 해수면상승도 침식문제 유발 영향요인은 될 수 있지만 현재까지는 눈에 띄는 침식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은 아니라는 것이다.파랑을 강하게 막을수록 부작용도 커져 2차침식이 일어나기에 파랑의 영향범위 내에는 산책로 등의 시설을 설치하지 말자고 제안했다. 방파제, 호안(옹벽 포함), 준설 등 침식대책 시설도 모두  표사 불균형을  유발하는 것들이다.

나아가 “경관” 강조는 본질에서 벗어난 주객전도이자 해수욕장의 이용성을 저해한다며 경관은 창출하는 것이지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해안의 침식문제는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표사불균형 상황을 최소화 하는 대책을 선제적 혹은 병행하면 대폭 줄일 수 있다는게 강윤구 박사의 결론이다.

신창섭

댓글 작성하기!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이름을 입력하세요.